사물통신(사물인터넷, IoT: Internet of Things)
태그 : 통지덤,사물통신
- 개념
- 개념: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사물간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
## 1. 사물통신 개요
### 가. 정보처리 패러다임 변화 및 기술 발전 현황


### 나. 사물인터넷 개념
- 사람, 사물, 공간,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, 정보가 생성/수집/공유/활용되는 초연결 인터넷
-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,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
## 2. 사물인터넷 주요기술

| 계층 | 구분 | 핵심기술 |
| -------- | -------- | -------- |
| 응용서비스 | 개인 맞춤형 서비스 | - 지능형 상황인식 기술
- 개인환경 서비스를 위한 프로파일 갱신기술 | | | 스마트 안심서비스 | - 위험상황 인지기술, 단말탈취 및 파손 대응기술
- 신체통신기술, 초소형 저전력 휴대장치 기술 | | | 차량 지능화 서비스 | - 무인프라 교통흐름제어 및 최적 경로 제공기술
- 교통사고 가능성 인지 및 전달기술 | | | 공공 SoC 서비스 | - 무전원, 저전력, 자가 전원기능 | | 서비스플랫폼 | 서비스 제공계층 | - 수집정보 바탕으로 위치기반 정보, 지리정보 처리 및 표시
- 정보 전달 단문 메시지 전송, 인증, 과금, IMS를 이용한 연동 | | | 네트워크 제공계층 | - 수집정보 가공처리, 데이터 형식 변환, QoS 보장
- M2M 디바이스 동작 감시| | 인프라/전달망 | Communication Networks | - Access, Transport, Core Network로 구성
- xDSL, PLC, satellite, LTE, WLAN, WiMAX 등 | | | Area Network (사물인식, 정보수집) | - NFC, Bar Code, QR Code, RFID, WiFi, Zigbee, 블루투스
- Security Camera, Smart Home, Automatic Meters| | 단말장치 | 인터페이스 | - 센서/Actuator(Controller), M2M 통신 모듈 | | | 하드웨어, OS | - OS(firmware), 센서/제어 인터페이스, device driver | | | 미들웨어 | - 상태관리 및 처리기능, 원격제어기능, 구성정보 처리기능, 장애진단 및 처리기능 등
- M2M 디바이스 인증, 데이터 무결성 검증, 키관리 | | | 어플리케이션 | - 데이터 전처리, OTA, 수집정보처리 및 변환, 트랜잭션 처리 | -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해선 센서/상황 인지 기술, 통신/네트워크 기술, 칩 디바이스 기술, 경량 임베디드
네트워크 기술, 자율적/지능형 플랫폼 기술,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빅데이터 기술,
데이터마이닝 기술, 사용자 중심의 응용 서비스 기술, 웹 서비스 기술, 보안/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등
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필요 ## 3. RFID/USN/M2M과 사물인터넷 비교 | 구분 | RFID/USN/M2M | | 사물인터넷 |
| -------- | -------- | -------- |-------- |
| 통신/네트워크 | 근거리망, 이동망 중심 | ➔ | 인터넷 중심 |
| 디바이스의 형태 | 센서 중심 | ➔ | 센서와 액츄에이터의 Physical Thing과 데이터와 프로세스 등을 포함한 Virtual Thing |
| 디바이스의 서비스 구동 수준 | 단순 정보 수집/수동적 | ➔ | 자율 판단하는 지능 보유/자율적 |
| 서비스 플랫폼 | 모니터링 정보 처리 | ➔ | 의미 기반 모니터링 및 자율 제어 |
| 서비스 관리 규모 | 수천만 개의 사물 | ➔ | 수백 억 이상의 사물 |
| 서비스 적응성 | 통시적 서비스 제공 | ➔ | 즉시적 스마트 서비스 제공 |
- 개인환경 서비스를 위한 프로파일 갱신기술 | | | 스마트 안심서비스 | - 위험상황 인지기술, 단말탈취 및 파손 대응기술
- 신체통신기술, 초소형 저전력 휴대장치 기술 | | | 차량 지능화 서비스 | - 무인프라 교통흐름제어 및 최적 경로 제공기술
- 교통사고 가능성 인지 및 전달기술 | | | 공공 SoC 서비스 | - 무전원, 저전력, 자가 전원기능 | | 서비스플랫폼 | 서비스 제공계층 | - 수집정보 바탕으로 위치기반 정보, 지리정보 처리 및 표시
- 정보 전달 단문 메시지 전송, 인증, 과금, IMS를 이용한 연동 | | | 네트워크 제공계층 | - 수집정보 가공처리, 데이터 형식 변환, QoS 보장
- M2M 디바이스 동작 감시| | 인프라/전달망 | Communication Networks | - Access, Transport, Core Network로 구성
- xDSL, PLC, satellite, LTE, WLAN, WiMAX 등 | | | Area Network (사물인식, 정보수집) | - NFC, Bar Code, QR Code, RFID, WiFi, Zigbee, 블루투스
- Security Camera, Smart Home, Automatic Meters| | 단말장치 | 인터페이스 | - 센서/Actuator(Controller), M2M 통신 모듈 | | | 하드웨어, OS | - OS(firmware), 센서/제어 인터페이스, device driver | | | 미들웨어 | - 상태관리 및 처리기능, 원격제어기능, 구성정보 처리기능, 장애진단 및 처리기능 등
- M2M 디바이스 인증, 데이터 무결성 검증, 키관리 | | | 어플리케이션 | - 데이터 전처리, OTA, 수집정보처리 및 변환, 트랜잭션 처리 | -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해선 센서/상황 인지 기술, 통신/네트워크 기술, 칩 디바이스 기술, 경량 임베디드
네트워크 기술, 자율적/지능형 플랫폼 기술,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빅데이터 기술,
데이터마이닝 기술, 사용자 중심의 응용 서비스 기술, 웹 서비스 기술, 보안/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등
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필요 ## 3. RFID/USN/M2M과 사물인터넷 비교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