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I-DUM
  • 용어사전
  • 아이리포
  • 아이리포카페
  • 데지덤
    • 데이터베이스 개념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개념
        • DBMS
        • DBS
        • DBMS발전단계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개념
        • 데이터
        • 유일성
      • DBMS
        • 데이터독립성
        • 데이터사전, 카탈로그
        • 객체지향 DBMS
        • 관계형DBMS
        • 객체관계DBMS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개발과운영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 분석,설계,구축 프로세스
        • 클러스터링 테이블
    • 데이터베이스 설계(1/2)
      • 데이터표준
        • 데이터, 정보, 지식, 지혜
        • 릴레이션, 도메인, 튜플
      • 데이터모델링
        • 기본키
        • 데이터모델링 개념
        • 엔터티
        • 속성
        • 관계
        • 식별자
        • 개념적 데이터모델링
        • 논리적 데이터모델링
        • 물리적 데이터모델링
    • 데이터베이스 설계(2/2)
      • 프로세스 및 상관모델링
        • 업무기능분해와 CRUD 매트릭스
      • 정규화
        • 정규화개요
        • 함수종속성
        • 이상현상
        • 1차 정규화
        • 2차 정규화
        • 3차 정규화
        • 보이스코드 정규화
        • 4차 정규화
        • 5차 정규화
      • 반(역)정규화
        • 반정규화개요
      • DB물리설계
        • DB 물리설계
        • 무결성제약의 조건
    • 인덱싱과 DB프로그래밍
      • 인덱스와 해싱
        • B+Tree
        • B-Tree
        • T Tree구조
        • R Tree구조
        • 인덱스(Index)
        • 해싱개요
      • 관계연산
        • 외부조인 & 세미조인
        • Nested,Sort,Hash 조인
        • 관계대수
      • DB언어
        • 데이터언어
      • SQL
        • SQL:1999/2003
        • SQL 문장의 유형들
        • SQL-집합, 서브쿼리, 아우터
        • Embedded SQL
        • Dynamic SQL
        • SQL 부분범위처리
        • SQL Full table scan
        • SQL실행계획
    • 데이터베이스 운영
      • 트랜잭션
        • 트랜잭션
        • 2pc
        • ACID
        • ACID vs BASE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복구
        • 장애와 회복기법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성능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 접근과정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 성능튜닝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 접근
      • 병행제어(동시성제어)
        • 동시성제어개요
        • 잠금(Lock)
        • 2PL
        • Deadlock
        • 낙관적제어(Validation)
        • Isolation Level
    • 분석계 및 빅데이터기술
      • 빅데이터기술
        • NoSQL
        • No-SQL 데이터모델링
    • 데이터베이스 종류와 보안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종류
        • 멀티미디어DB
        • 분산 데이터베이스
        • XML 데이터베이스
        • 공간 데이터베이스
        • 메모리 데이터베이스
        •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
        • 다중레벨 데이터베이스
        • 이동객체 데이터베이스
        • 모바일 데이터베이스
  • 소지덤
    • 소프트웨어
      • 소프트웨어
        • ISO25000, SQUARE
        • ISO/IEC 12207
        • Good S/W인증
        • CMMi
        • PSP/TSP
        • ITSM
        • ITIL
        • 객체지향
        • 모듈화, 결합도/응집도
        • 3R
        • UML
        • SW 아키텍처
        • 품질보증
        • Peer Review
        • 형상관리
        • SW 신뢰성과 가용성
        • SW 유지보수
        • SOA
        • OOP 5대원칙
        • AOP 웹공학
        • SW Metrics
        • 코딩
        • 코딩오류, 코드스멜, 리팩토링
        • SWEBOK
        • 스프링프레임웍
        • SW비주얼라이제이션
  • 네지덤
    • 네트워크
      • 네트워크
        • CAN(Controller Area Network)
        • NFC
        • 홈네트워크 미들웨어
        • 성능향상 WLAN 표준
        • WAVE
        • WPAN
        • 망중립성
        • 통신망
        • 차량통신(V2X: Vehicle to Everything)
        • DWDM
        • Femtocell
        • 세션계층
        • 저전력광역무선망(LPWAN)
        • 6LoWPAN
        • SDR
        • 데이터링크 계층
        • XMPP
        • VLAN
        • 스마트안테나
        • 통신모델
        • 사물통신(사물인터넷, IoT: Internet of Things)
        • CIDR
        • 5G (IMT2020)
        • 아날로그/디지털 신호
        • FBMC(Filter Bank Multi Carrier)
        • CSMA/CA
        • HSPA+
        • 통신이론
        • NOMA(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)
        • NFV(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)
        • 변조 (Modulation)
        • LTE
        • TRS
        • 응용통신
        • TCP/IP 흐름제어
        • CoIP
        • 오버레이네트워크
        • SDN(Software Defined Network)
        • 재난통신
        • 인터네트워킹
        • BCN
        • VPN
        • LTE-A(Advanced)
        • LIN(Local Interconnect Network)
        • Ad-hoc
        • QoS
        • GSM/CDMA
        • IVN(In Vehicle Network)
        • SON
        • 홈네트워크
        • WiFi(WLAN)
        • DSRC
        • WLAN
        • MVNO
        • TCP/IP
        • NB-IoT(NarrowBand)
        • TDMA, FDMA, CDMA
        • NFV
        • 전송계층
        • 소물통신(IoST: Internet of Small Things)
        • IPv4/IPv6
        • CR
        • 물리계층
        • CoAP
        • NAT
        • MIMO
        • 다중화/다중접속
        • MEC(Mobile Edge Cloud)
        • IP Multicast
        • LTE-A
        • 통신기술
        • 이동무선백홀
        • CSMA/CD
        • HSDPA
        • USB3.0
        • C-RAN(Cloud Radio Access Network)
        • OpenFlow
        • 오류정정기법 FEC, BEC
        • 4세대 이동통신
        • M2M 외
        • LTE기반 국가재난안전무선통신망(PS-LTE)
        • TCP / IP
        • VoIP
        • P2P
        • 네트워크 슬라이싱(Network Slicing)
        • ITS/C-ITS
        • 계층별 네트워크 프로토콜
        • USN
        • Tunneling
        • LTE(Long Term Evolution)
        • FlexRay
        • RFID
        • FTTH
        • 이동통신
        • V2V
        • WBAN
        • ISM
        • 기본통신
        • V2I(Vehicle to Infrastructure)
        • 회선교환 vs 패킷교환
        • FMC, FMS
        • 어플리케이션계층
        • LoRa(Long Range)
        • TDM, FDM, WDM
        • SDN
        • 네트워크계층
        • LwM2M
        • DHCP
        • OFDM
        • OSI 7 Layer
        • MQTT
        • DNS
        • Wibro
        • 변조/복조
        • IBFD(In Band Full Duplex)
        • 라우팅 프로토콜
        • HSUPA
        • 통신원리
        • Massive-MIMO
        • 양자통신
        • 네트워크 부호화
        • WCDMA
        • IEEE1394
        • NFV(Network Function Visiulation)
        • SDN(Software Defined Network)
        • TCP/IP 혼잡제어
        • Mobile IP
        • 웹가속기
        • 국가재난안전통신망
        • 계층별 장비
        • 소프트스위치
        • CDN
        • 5G/IMT-2020
        • MOST
        • OSI 7 Layer
        • 무선매쉬네트워크
        • NMS
        • 4G
      • 네트워크 기출문제
        • 네트워크 감리사 기출문제[2/2]
        • 네트워크 기술사 기출문제[2/2]
        • 네트워크 감리사 기출문제[1/2]
        • 네트워크 기술사 기출문제[1/2]
  • 컴지덤
    • 컴퓨터 구조
      • 컴퓨터 구조
        • VTL
        • 멀티코어
        • 프로세스 성능향상
        • 병렬컴퓨터
        • 길더의 법칙(Guilder's Law)
        • 무어의 법칙
        • 안드로이드 (Android)
        • Fault Tolerant, High Availability
        • Network Storage
        • CPU 성능평가 (HW용량산정)
        • CISC & RISC
        • 폰 노이만형 아키텍처, 하버드 아키텍처
        • 암달의 법칙 (Amdal's Law)
        • JVM ,GC
        • 차세대 저장장치
        • 반도체 기억장치
        • 파이프라인 해저드 (Pipeline Hazard)
        • 명령어
        • 파레토의 법칙
        • 멧칼프의 법칙 (Metcalfe’s Law)
        • 가상화
  • 경지덤
    • IT경영
      • IT경영
        • IT 거버넌스
        • ISO 38500
        • COBIT
        • IT 경영전략
        • SEM
        • VBM
        • 가상기업
        • 전략수립도구
        • EA
        • EAP
        • EA 참조 모델
        • ISP/ISMP
        •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웍
        • 정보기술아키텍처 성숙도 모델 v3.1
        • ERP
        • GSI
        • ALM
        • APM
        • EAI
        • B2Bi
        • ITSM
        • ISO20000
        • ILM
        • ITAM
        • SAM
        • ITO
        • BPO
        • Offshoring Outsourcing
        • EO
        • MDM
        • MRO
        • ECM
        • RTE
        • BPM
        • Social BPM
        • BRE
        • BAM
        • CRM
        • CEM
        • EIP
        • X-Commerce
        • IT투자분석
        • BSC
        • SLA, SLM, SOW
        • BCM, BPC, DRS
        • DRS
        • SCM
        • PLM
        • CIM
        • MES
        • IT Compliance
        • 바젤, 사베인즈 옥슬리
        • 그린 IT
        • 그린 IT 인덱스
        • TRIZ
        • Cobit 5.0
        • 산업혁신 3.0
        • Open Innovation
  • 관지덤
    • 프로젝트관리
      • 프로젝트관리 개요
        • 조직관리론
        • 프로젝트 관리 개요
        • 프로그램관리, 포트폴리오관리
        • PMO
        • PM
        • 프로젝트 생애주기와 조직
        •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
      • 프로젝트관리 영역
        • 프로젝트 통합관리
        • 프로젝트 범위관리
        • 프로젝트 일정관리
        • CPM
        • CCM
        • 프로젝트 원가관리
        • 프로젝트 품질관리
        • 프로젝트 인적자원 관리
        •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
        • 프로젝트 위험관리
        • 프로젝트 조달관리
      • 프로젝트관리 기출문제
        • 프로젝트관리 감리사 기출문제[1/4]
        • 프로젝트관리 감리사 기출문제[2/4]
        • 프로젝트관리 감리사 기출문제[3/4]
        • 프로젝트관리 감리사 기출문제[4/4]
        • 프로젝트관리 기술사 기출문제
  • 테지덤
    • 테스트
      • 테스트개요
        • TDD
        • SW 테스트의 개요
        • V-Diagram
        • SW 테스트의 유형
        • SW 테스트 프로세스
      • 프로젝트 단계별 테스트
        • 통합테스트
        • 성능테스트 – Little’s law 포함
        • 단위 테스트
        • 기능테스트 / 비기능테스트
        • 시스템테스트
        • 인수테스트
      • 다양한 테스트 유형
        • Black Box Text & White Box Test
        • 경험기반 테스트
        • 리스크 기반 테스트
        • 유스케이스 테스트
        • 경계값 분석(Boundary Value Analysis)
        • 조건커버리지(Condition Coverage)
        • 구조기반 테스트 – 테스트커버리지
        • Mutation Test(비버깅)
        • 유지보수 테스트
        • 조합테스트
        • 상태전이테스트
        • 등가분할 테스트(Equivalence Partitioning)
        • 결정 커버리지(Decision Coverage)
        • 탐색적 테스팅
        • 확인/리그레션테스트
        • 분류트리기법테스트
        • 결정테이블테스트
        • 명세기반 테스트(Specification-based)
        • 구문커버리지
      • 테스트지원
        • Peer Review
        • Cyclomatic Complexity(McCabe)
        • 리뷰
        • Record & Replay
        • 정적기법
        • 테스트케이스(Test Case)
      • 테스트인증평가
        • TPI
        • TMMi
        • TMM(Test Maturity Model)
      • SW오류종류 및 기타
        • 테스트오라클
        • 퍼지 테스트
        • 테스트 주요용어 정리
        • 퍼즈 테스팅(Fuzz Testing)
        • 글로벌화 테스트
        • 소프트웨어 오류
        • 크라우드테스트
        • Sanity Test
        • 임베디드 테스트
  • 돈지덤
    • 비용산정
      • 비용산정
        • COCOMO2
        • Function Point 절차 및 규칙 상세 2-2
        • SW사업대가 산정법
        • COCOMO
        • Function Point 절차 및 규칙 상세 2-1
        • Function Point 문제풀이
        • Function Point(ISO/IEC 14143) 개요
  • 분지덤
    • 분석
      • 분석
        • 기계학습(Machine Learning)
        • DW모델링
        • Mobile Web 2.0
        • EDW
        • SOAP
        • 전문가시스템 (Expert System)
        • REST
        • 트롤리 딜레마
        • AJAX
        • 인공지능 개념
        • Map/Reduce
        • 웹서버 부하분산
        • NoSQL
        • RDF
        • DW 어플라이언스
        • 퍼지
        • Apriori 알고리즘
        • 프로세스마이닝
        • WebOS
        •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 (Monte Carlo Tree Search)
        • 데이터마이닝-신경망
        • XQuery
        • KNN (K Near Neighborhood)
        • 데이터마이닝-연관규칙(Association)
        • XML Schema
        • 로지스틱 회귀분석(Logistic Regression Analysis)
        • OLAP
        • HyWAI
        • 유사도측정-유클리디안거리, 코사인유사도, 마할라노비스거리, 자카드계수
        • ETT
        • Web2.0
        • 데이터웨어하우스(DW)
        • SOA
        • 킬 스위치
        • JSON
        • 튜링 테스트
        • Advanced Analytics
        • Node.js
        • 몽고 DB
        • SPARQL
        • 하둡
        • Ontology
        • 웹마이닝
        • 프로덕션시스템
        • 연관분석
        • 지지도/신뢰도/향상도
        • DOM/SAX
        • 은닉마르코프모델(HMM, Hidden Marcov Model)
        • 기억기반추론(MBR)
        • XLL
        • 의사결정트리(Decision Tree)
        • 데이터마이닝-클러스터 탐지
        • DTD
        • 회귀분석(Regression Analysis)
        • BI, Bi2.0
        • WOA
        • 추천엔진 (Recommendation Engine)
        • ODS
        • UDDI
        • 웹서비스
        • 아실로마 인공지능 원칙
        • ESB
        • 인공지능 역사
        • HDFS
        • 웹스토리지
        • 카산드라
        • Agent
        • 빅데이터
        • Semantic Web
        • 앙상블학습
        • 텍스트마이닝
        • 인공지능
        • 군집화 K-means
        • 데이터마이닝-분류
        • XRX
        • 베이즈 정리
        • 데이터마이닝-연속규칙
        • XPATH
        • 서포트 벡터 머신(Support Vector Machine)
        • 데이터마이닝의 개요와 절차
        • XML
  • 시지덤
    • 보안
      • 보안
        • IAM
        • 생체인식
        • OTP
        • 빅데이터 보안
        • SIEM
        • 무선랜보안
        • Secure Coding
        • 세션 하이재킹
        • IDS
        • XSS
        • APT 공격
        • DOI, INDECS
        • DRM
        • 사회공학
        • PMI
        • EAM
        • 접근통제
        • VPN(IPSec, MPLS, SSL)
        • 유비쿼터스 보안
        • ESM
        • 스마트그리드 보안
        • Secure OS
        • Forensic
        • Firewall
        • OWASP
        • DDOS
        • Watermarking
        • CC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 보안
        • PKI
        • SSO
        • AAA
        • 암호화(DES, SEED, ARIA 등)
        • RFID 보안
        • Secure SDLC
        •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
        • IPS
        • SQL Injection
        • 관리적보안, 물리적보안, 기술적보안
        • 해킹
        • SET
        • MPEG21
        • ISO27001
        • 개인정보보호법
  • 오지덤
    • 운영체제
      • 운영체제
        • System Call
        • Disk Scheduling
        • Memory Mapped IO, I/O Mapped I/O
        • Thrashing
        • 메모리 관리기법
        • Banker’s 알고리즘
        • Race Condition
        • 프로세스, 쓰레드
        • 유닉스 파일시스템
        • 가상메모리
        • 메모리 인터리빙
        • Locality
        • 우선순위 역전
        • 세마포어, 뮤텍스
        • 인터럽트
        • 모노리틱 커널, 마이크로 커널
        • 버디메모리 할당
        • RAID
        • DMA (Cycle Stealing)
        • Cache Memory
        • 단편화
        • CPU Scheduling
        • 교착상태(Deadlock)
        • Context Switching
        • 운영체제
  • 컨지덤
    • IT컨설팅
      • IT컨설팅
        • Value Proposition
        • McKinsey’s 7S’ model
        • 시장 세분화
        • 시나리오 기법(Scenario Planning)
        • 3C분석
        • TRL
        • 특허
        • Logic Tree
        • Matrix 분석 기법
        • 기술 수용 주기 분석-Chasm, 경쟁 포지셔닝 나침반
        • 벤치마킹
        • 제품개발의 손익분기점 분석(BEP)
        • 마이클포터의 5 Forces 분석
        • SWOT분석
        • PI
        • 정보기술 적용가능성분석
        • TRIZ
        • 게임 이론-동시적 게임의 손익행렬,전략적 게임보드
        • 포트폴리오 관리기법-BCG Growth/Share Matrix
        • Porter의 경쟁 전략
        • Value Chain
        • 사업의 경제성 분석
        • 거시환경분석
        • 가트너하이퍼사이클
        • 상표권
        • MECE/LISS
        • 6 Sigma
  • 유지덤
    • UML/DF
      • UML
        • UML의 개요
        • 객체지향
        • 다형성
        • 추상클래스
        • 인터페이스
        • UML
        • UML 2.0
        • UML의 확장
        • 4+1 view
        • UML 다이아그램
        • Use Case 다이아그램 – 요구사항부터 구현까지
        • Sequence 다이아그램
        • Class 다이아그램
        • 액티비티 다이어그램
        • State Machine 다이어그램
        • 클래스와 자바코드
        • OCL (Object Constraint Language)
      • DF
        • 디자인패턴의 개요
        • 상속과 위임
        • Abstract Factory Pattern
        • Factory Method Pattern
        • Prototype Pattern
        • Adapter Pattern
        • Bridge Pattern
        • Composite Pattern
        • Decorator Pattern
        • Facade Pattern
        • Fly Weight Pattern
        • Chain of Responsibility Pattern
        • Command Pattern
        • Interpreter Pattern
        • Iterator Pattern
        • Mediator Pattern
        • Memento Pattern
        • Observer Pattern
        • State Pattern
        • Strategy Pattern
        • Template Method Pattern
        • Visitor Pattern
        • 헷갈리는 디자인패턴 간단한 구분
        • 프레임워크, 디자인패턴, 아키텍처 스타일의 비교
        • POSA(GoF 디자인패턴외)
        • J2EE
  • 알지덤
    • 알고리즘
      • 자료구조
        • 스택
        • 트리 (Tree)
        • 자료구조
        • 연결 리스트 (Linked List)
        • 그래프
      • 알고리즘
        • 철학자들의 만찬
        • 문자열 탐색
        • 순차 탐색 (Sequential Search)
        • 힙 정렬 (Heap Sort)
        • 삽입 정렬 (Insert Sort)
        • 백트래킹 알고리즘
        •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
        • 해시 탐색 (Hash Search)
        • 계수 정렬 (Counting Sort)
        • 합병 정렬 (Merge Sort)
        • 선택 정렬 (Selection Sort)
        • 알고리즘
        • 논리회로
        • 최소신장트리 알고리즘
        • 이진 탐색 (Binary Search)
        • 기수 정렬 (Radix Sort)
        • 퀵 정렬 (Quick Sort)
        • 버블 정렬 (Bubble Sort)
  • 신지덤
    • 신기술
      • 신기술
        • S/W대가산정가이드-2013
        • 압축표준(MPEC-H)
        • SoC, SoB, SiP
        • 초연결사회
        • Bluetooth 5.0
        • OVF
        • SIEM
        • FMEA
        • FDS
        • 하이퍼바이저
        • 잊혀질 권리
        • 소셜러닝
        • 미라이 봇 넷
        • 창조경제와 IT
        • 빌딩로보틱스
        • HW용량산정
        • 에너지하베스팅
        • NFC (Near Field Communication)
        • Open API
        • AMI
        • CKAN
        • e-Pub
        • 마이그레이션
        • 오픈소스(라이선스 비교)
        • 스미싱
        • PaaS-TA(파스타)
        • 웹접근성 법제화
        • FEMS
        • ISO 29119
        • Phishing
        • Beacon
        • ITS
        • 플럽드 러닝
        • LOD (Linked Open Data)
        • Contents 2.0
        • CASB (Cloud Access Security Broker)
        • 증강인간/인지증강
        • 가시광통신
        • 오픈스택
        • BIM
        • Dublin core
        • 사이버 망명
        • SW기능 안정성
        • IPCC
        • 양자컴퓨터
        • HTML 5
        • Smart Work
        • 클라우드 DR
        • 증강현실 (Augmented Reality)
        • Telematics
        • IoT 표준화 현황 및 추진전략
        • 튤립버블, 알트코인
        • SDN
        • ESS
        • 2D 바코드(2D Barcord)
        • 데이터 사이언티스트
        • AUTOSAR
        • EMS (Enterprise Mobile Solution)
        • 소셜 CRM
        • 린 스타트업
        • 스마트그리드
        • O2O(Online to Offline) 서비스
        • FMEA
        • LAS
        • 4차산업혁명 보안
        • 서비스 동향 및 사회적 이슈
        • 썬더볼트 2
        • 메타버스
        • NOSQL
        • ISO26262
        • EMR, HL7, PACS, DICOM
        • 전력절감 컴퓨팅 기술
        • 카파 아키텍쳐
        • SNS
        • 스낵컬처
        • CKAN
        • IMS
        • 표준화
        • 드론 플랫폼
        • TSM
        • 에너지 그리드
        • Streaming DBMS
        • 에너지관리
        • 제니비 연합
        • 스턱스넷
        • 정보보안 거버넌스 표준 ISO27014:2013
        • 파티셔닝
        • 문서중앙화
        • 스마트 워치
        • 탈중심웹 (Decentralized Web)
        • ENUM
        • CPS(Cyber Physical System) 활용분야 및 최적화 전략
        • 드론 보안
        • NBA
        • 하둡 3.0
        • SW 가시화
        • 자율주행 자동차 - V2X
        • IPv6보안
        • FTL
        • HDFS 2.0
        • 디지털교과서
        • 스파크
        • 린 6 시그마
        • BaaS
        • 스마트팩토리
        • Tactile Internet
        • Wifi P2P WIFI Direct
        • 하둡에코 (sqoop)
        • 557(금융권)
        • LKAS
        • 지능형서비스로봇(URC)
        • KWCAG 2.0
        • Hadoop 2.0
        • Ubiquitous Computing
        • 아이디어 플랫폼
        • 디지털 홀로그램
        • ISO 26262
        • 보안 MCU
        • 레그테크
        • MEAP
        • 하둡에코 (Spark)
        • 망분리(지침과 금융권이슈)
        • 자율주행 5대서비스,10대부품
        • iOS (아이폰 OS)
        • MMT
        • Wear Leveling
        • RTSP
        • 핀테크
        • 가상현실
        • 오픈스택
        • 빅데이터 보안
        • DMBok
        • 디지털 큐레이션
        • 하둡에코 (Chukwa),CPS(Cyber Physical System) [SAC]
        • 분리/분할발주 법령내용
        • HEVC(MPEC-H Part2)
        • User Interface
        • MPEG
        • 블루본
        • RFID
        • 운영감리
        • 증강현실 (Augmented Reality)
        • 감성 ICT 기술 및 산업동향
        • 도커(Docker) [이컨엘엔허]
        • SWEBOK
        • 소셜 TV
        • IoT 보안 가이드라인
        • PMO-기준(법령)
        • MPEC-UD (User Description)
        • OLED
        • 가트너 10대기술
        • Bluetooth 4.0
        • OSGi
        • IoT보안
        • FTA
        • VDI
        • 가상화 (Type1/2, 대상)
        • 오픈소스 도입 전략 및 이슈
        • 비싱
        • 하둡에코 (YARN)
        • CKAN
        • 의무화 동향
        • 그린인덱스
        • GRC
        • RFID
        • NUI
        • ESS
        • CKAN, DKAN, OGPL, Socrata, Junar
        • e-Discovery
        • 클라우드테스트
        • 오픈소스(오픈소스 도입 전략 및 이슈)
        • 카산드라 DB
        • Open Cloud Foundry vs Open Shift(PaaS)
        • 반응형 웹(CSS3, 미디어쿼리)
        • CEMS
        • ISO 26000
        • 개인정보 익명화
        • WPAN (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)
        • IPTV 보안
        • MOOC
        • 탈중심웹 (Decentralized Web)
        • 재난통신
        • SECaaS(Security As A Service)
        • VR VS AR
        • UMB
        • 개방형 IoT 플랫폼 (모비우스 기반)
        • 무선충전기술
        • 3D TV
        • 사이버 상조
        • 자동차 사이버 보안 위협
        • IoT (Internet of Things)
        • SDX(SDN,SCDC,SDS,SDR)
        • 린 6 시그마
        • 스마트 카드
        • 모바일클라우드보안
        • 증강현실 (Augmented Reality)
        • M2M
        • IoT 플랫폼
        • 안티 드론
        • Wearable Computer(구글glass)
        • 스마트 미터링
        • ARC (Augmented Reality Continuum)
        • 빅데이터 큐레이션
        • ASIL
        • emergent EA
        • 하둡2.0, 하둡에코
        • 그로스 해킹(코호트:(cohort)
        • 마이크로 블로그
        • 오픈소스 하드웨어
        • FTA
        • IP-USN
        • 4차 산업혁명 [디생물]
        •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
        • 모바일 가상화
        • 증강현실(AR)
        • 컬럼기반 DB
        • MirrorLink: CCC
        • u-Health
        • CCN
        • 람다아키텍쳐
        • SNG
        • 디지털 발자국
        • 오픈데이터 플랫폼
        • GPS
        • 제조업 혁신 3.0
        • 드론 정책
        • gTLD
        • 스마트 (파워)그리드
        • 악성코드패턴
        • C-ITS
        • 내부통제
        • CISO
        • 샤딩
        • 모바일 오피스, 스마트 오피스
        • 샌드박스
        • WebRTC
        • DMB
        • CPS(Cyber Physical System) 핵심기술
        • AI 스피커
        • SDP
        • 하둡에코 (Pig)
        • Anonymous
        • 자율주행 자동차 - WAVE
        • DAP/LDAP
        • 해커톤
        • HDFS
        • 디지털 홀로그래픽
        • 마이핀
        • 린 UI/UX
        • ISO 61508
        • IoT 보안 인증제
        • 제로UI
        • 데이터 압축기법
        • 하둡에코 (Kafka)
        • 영상기기보안
        • 자동차 자율주행 - ADAS
        • OSS (Open Source Software)
        • HTTP 적응적 스트리밍
        • 빅데이터기술상세 Map/Reduce
        • SVC
        • SW BMT
        • HCI
        • AUTOSAR
        • 미라이 봇 넷
        • 리걸테크(Legaltech)
        • RCS
        • 하둡에코 (Flume)
        • 취약점 발견자 현상금
        • 자율주행
        • 안드로이드 아키텍처
        • HEVC
        • SSD
        • RTLS
        • 매그니튜드 익스플로잇 킷
        • 가상현실
        • 그로쓰해킹
        • 도커(Docker) 아키텍처
        • REBok
        • 아키텍쳐 비즈니스 사이클
        • 스마트팩토리
        • SP인증
        • MMT(MPEC-H Part1)
        • User eXperience
        • Node.js
        • ZING
        • PACS
        • 분할발주
        • Hazop
        •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
        • LXC (LinuX Container)
        • 디지털소멸
        • 소셜커머스
        • 보안 MCU
        • BYOD(CYOD, BYON)
        • 압축표준(MPEG-21)
        • ODF vs OOXML
        • ISMS
        • Zigbee
        • SOAP
        • CSB
        • 초연결 사회, 데이터 거래소, Data 브로커
        • GRID Computing
        • 인티크레이션
        • 오픈소스(오픈소스화)
        • 큐싱
        • 하둡에코
        • 정부 3.0
        • HEMS
        • 그린네트워킹
        • Parming
        • 비콘 플랫폼 (beacon platform)
        • N-Screen
        • WAVE
        • 오픈데이터 플랫폼
        • e-Book
        • 클라우드 개발방법론
        • BCI
        • 무선전력전송기술
        • 오픈스택 동향
        • BEMS
        • ISO 26262
        • 인터넷 윤리
        • ISO 61508
        • IPTV, Mobile IPTV
        •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(PIM)
        • WebRTC
        • 인포그래픽스
        • DRaaS
        • HMD (Head Mounted Display)
        • TPEG
        • 모비우스(Mobius)
        • LTE-A(광대역과 비교)
        • 에너지하베스팅
        • 3D Chip
        • 잊혀질 권리
        • ASPICE
        • HCI (Human Computer Interaction)
        • MEMS
        • 린 UI/UX
        • 마이크로 그리드
        • 퍼블릭클라우드보안
        • Hazop
        • LBS
        • PLM
        • 드론정책, 표준
        • 3D Printer/4D
        • 라이프 로그(Life Log)
        • 샤딩
        • ISO 26262
        • u-Learning
        • 하둡
        • 그로스 해킹(Growth Hacking)
        • 소셜표준
        • 자동차 자율주행
        • 초연결 사회, 데이터 거래소, Data 브로커
        • IPC
        • 4차 산업혁명 [경계가 없어짐 / 융합]
        • 안티드론
        • BCI
        • 마이크로그리드
        • 도메인테스트
        • Appliance
        • IVI/OAA/지니비
        • Bio-Infomatics
        • NFV
        • 리플리케이션
        • SNA
        • 스마트교육
        • LOD (Linked Open Data)
        • Femtocell
        • 인더스트리 4.0
        • 드론보안
        • 스토리지 재해복구
        • 엔터프라이즈 하둡
        • 코드 난독화(마스킹)
        • 라이다(LiDAR, Light Detection And Ranging)
        • RPD
        • 칸반
        • HDFS 1.0/HDFS 2.0 기능비교 (Hadoop2.0)
        • 멀티모달 인터페이스
        • STORM
        • HTML 5
        • DLNA
        • CPS(Cyber Physical System) [SAC]
        • 초연결 신뢰 네트워크
        • Application Processor
        • 하둡에코 (Hive)
        • xDDOS(PDOS, DDOS, EDOS 등)
        • C-V2X
        • APT (Advanced Persistent Threat)
        • ACID / BASE
        • Hadoop 3.0
        • U-City 보안
        • 스마트팩토리
        • 린 스타트업
        • ASIL
        • IoT 보안 가이드라인
        • 인슈어 테크
        • Cloud Service Brokerage
        • 하둡에코 (Storm)
        • 보안거버넌스
        • 자율주행
        • CCL (Creative Commons License)
        • DASH
        • 3D D램
        • SBC
        • 크라우드 펀딩
        • MR
        • 오픈스택2
        • IoT보안(키교환)
        • PMBok 5th, ISO 21500, 비교
        • OTT
        • 하둡에코 (Mahout)
        • 보안사고(3.20, 6.25)
        • 3D Audio(MPEC-H Part3)
        • X Internet vs RIA
        • H.264/AVC
        • FTL(Flash Translation Layer)
        • RSS
        • CI
        • HMD (Head Mounted Display)
        • 사이버공격 역추적 기술동향
        • 도커(Docker) 컨테이너 생성 관리 기술
        • BABok
        • Zero Client / Thin Client
        • IoT 보안 인증제
  • 인지덤
    • 인공지능
      • 인공지능 개요
        • 인공지능 개요
        • 인공지능 역사
        • 인공지능 평가 - 튜링 테스트
        • 인공지능 아키텍처 - 규칙기반 모델(Rule-Based Model)
        • 인공지능 아키텍처 - 전문가시스템 (Expert System)
        • 인공지능 아키텍처 - 추천엔진 (Recmmendation Engine), 협업필터링
        • 인공지능과 윤리 – 트롤리 딜레마
        • 인공지능과 윤리 – 아실로마 인공지능 개발 원칙
        • 인공지능과 윤리 – 킬 스위치
        • 유한 오토마타
        • 지능형 에이전트
        • 유전자 알고리즘
      • 인공지능 수학이론(통계와 확률)
        • 상관분석(correlation analysis)
        • 유사도측정(Similaraty Measure)
        • 회귀분석(Regression Analysis)
        • 로지스틱 회귀분석(Logistic Regression Analysis)
        • 연관분석(Association Analysis)
        • Apriori 알고리즘
        • 앙상블학습(Ensemble learning)
      • 머신러닝
        • 기계학습(Machine Learning) 개요
        • 의사결정트리(Decision Tree)
        • KNN (K Near Neighborhood)
        • 서포트 벡터 머신(Support Vector Machine)
        • 베이즈 정리
        • 클러스터링 K-means
        • 밀도추정방식 DBSCAN Clustering
        • 차원축소, Feature Extraction, PCA, ICA
        • 은닉마르코프모델(HMM, Hidden Marcov Model)
        • 몬테카를로 트리 서치 (MCTS, Monte Carlo Tree Search)
        • Q-Learning
      • 딥러닝
        • 딥러닝 개요
        • 신경망 알고리즘 원리 - 헵의 규칙
        • 신경망 알고리즘 원리 - 퍼셉트론
        • 신경망 알고리즘 원리 - 아달라인
        • 신경망 학습 - 활성화 함수
        • 신경망 학습 - Feed Forward Neural Network
        • 신경망 학습 - 역전파(Backpropagation)
        • 신경망 최적화 - 기울기 소실 (Vanishing Gradient Problem)
        • 신경망 최적화 - 경사하강법(Gradient Descent)
        • 학습 최적화 - 적합(overfitting), 부적합(underfitting)
        • ANN, DNN
        • CNN (Convolutional Neural Network)
        • RNN (Recurrent Neural Network)
        • LSTM, GRU
        • RBN(Restrict Boltzmann Network)
        • DBN(Deep Brief Network)
        • DHN(Deep Hyper Net)
        • DQN(Deep Q-Network)
        • GAN(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)
      • 알고리즘 평가
        • 혼동행렬 (Confusion Matrix)
        • ROC 커브
        • Cross Validation
        • 통계적 가설검정
      • 분야별 지능기술
        • TF-IDF
        • Tokenization, n-gram, 자연어처리
        • Word2vec
        • SNA
      • 참고. AI플랫폼
        • IBM Watson
        • 텐서플로우(Tensor flow)
        • Learning4J
        • Mahout
        • CNTK
        • 인공지능 라이브러리 – MATLAB
        • 인공지능 라이브러리 – Theano
        • 인공지능 라이브러리 – Caffe
        • 엑소브레인 (ExoBrain)
        • 딥뷰 (Deepview)
        • MS 코타나
  • 통지덤
    • 통신이론
      • 통신이론
        • 통신이론
        • 통신이론 – 통신원리
        • 통신이론 – 통신기술
        • 통신이론 – 통신기술 – 아날로그/디지털 신호
        • 통신이론 – 통신기술 – 변조/복조
        • 통신이론 – 통신기술 – 다중화/다중접속
      • 통신모델
        • 통신모델
        • 통신모델 – OSI 7 Layer
        • 통신모델 – OSI 7 Layer - 물리계층
        • 통신모델 – OSI 7 Layer – 데이터링크 계층
        • 통신모델 – OSI 7 Layer – 네트워크계층
        • 통신모델 – OSI 7 Layer – 전송계층
        • 통신모델 – OSI 7 Layer – 세션계층
        • 통신모델 – OSI 7 – 프리젠테이션계층
        • 통신모델 – OSI 7 – 어플리케이션계층
        • 통신모델 – TCP/IP
      • 통신망
        • 통신망
    • 무선통신
      • 기본통신
        • 기본통신
        • 기본통신 – WiFi(WLAN)
        • 기본통신 – 성능향상 WLAN 표준
      • 이동통신
        • 이동통신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GSM/CDMA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4G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4G – LTE(Long Term Evolution)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4G – LTE-A(Advanced)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-2020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2020 – 네트워크 슬라이싱(Network Slicing)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2020 – SDN(Software Defined Network)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-2020 – NFV(Network Function Visiulation)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2020 – C-RAN(Cloud Radio Access Network)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2020 – NOMA(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)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2020 – Massive-MIMO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2020 – 이동무선백홀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-2020 – FBMC(Filter Bank Multi Carrier)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2020 – IBFD(In Band Full Duplex)
        • 이동통신 – 5G/IMT2020 – MEC(Mobile Edge Cloud)
      • 사물통신
        • 사물통신(사물인터넷, IoT: Internet of Things)
        • 사물통신 - MQTT
        • 사물통신 - CoAP
        • 사물통신 – XMPP
        • 사물통신 – LwM2M
      • 소물통신
        • 소물통신(소물인터넷, IoST: Internet of Small Thinsg)
        • 소물통신 – 저전력광역무선망(LPWAN)
        • 소물통신 – 저전력광역무선망 – LoRa(Long Range)
        • 소물통신 – 저전력광역무선통신 – NB-IoT(NarrowBand)
      • 차량통신
        • 차량통신(V2X: Vehicle to Everything)
        • 차량통신 – V2I(Vehicle to Infrastructure)
        • 차량통신 – V2I - DSRC
        • 차량통신 – V2I - WAVE
        • 차량통신 - V2V
        • 차량통신 – IVN(In Vehicle Network)
        • 차량통신 – IVN – CAN(Controller Area Network)
        • 차량통신 – IVN - FlexRay
        • 차량통신 – IVN – LIN(Local Interconnect Network)
        • 차량통신 – IVN – MOST
        • 차량통신 – ITS/C-ITS(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)
      • 재난통신
        • 재난통신
        • 재난통신 - 국가재난안전통신망
        • 재난통신 - LTE기반 국가재난안전무선통신망(PS-LTE)
      • 응용통신
        • 응용통신
        • 응용통신 – SDN(Software Defined Network)
        • 응용통신 – SDN - OpenFlow
        • 응용통신 – NFV(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)
      • 양자통신
        • 양자통신

계층별 네트워크 프로토콜

태그 :

개념
OSI(Open Systems Interconnection)의 7 layer 또는 TCP/IP 각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

 

I. 계층별 프로토콜

 가. 프로토콜(Protocol)의 정의

  • 정보기기 사이 즉, 컴퓨터끼리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 등에서 정보교환이 필요한 경우, 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정한 여러 가지 통신규칙과 방법에 대한 약속, 즉 통신규약을 의미

  • 통신규약은 상호간의 접속이나 전달방식, 통신방식, 주고받을 자료의 형식, 오류검출방식, 코드변환방식, 전송속도 등에 대하여 정해진 약속

  • 통신하는 상대방의 위치에 따라 통신 개체가 어느 OSI 계층에 있는 지 인식하고 효율적인 정보전송을 하기 위한 기법 또는 정보의 안정성에 관한 약속

 나. 계층별 프로토콜

  • OSI(Open Systems Interconnection)의 7 layer 또는 TCP/IP 각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

 

II. OSI 계층별 프로토콜 및 계층별 프로토콜의 구조비교

 가. OSI 계층별 프로토콜

tcpipprotocols.png

 

 

 나. OSI와 TCP/IP 프로토콜의 구조비교

e0016031_12074866

- TCP/IP는 OSI 7 Layer 를 4개로 단순화 하여 구현

- TCP/IP는 3,4 계층을 중심으로 한 통신 프로토콜의 계층 집합

 

III. OSI 계층별 프로토콜의 종류

 가. 응용계층((Application Layer)

프로토콜

설명

HTTP

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
- www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

- 주로 HTML문서를 주고 받는 데에 쓰임

- TCP와 UDP를 사용하며, 80번 포트를 사용

-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/응답(request/response) 프로토콜

- HTTP를 통해 전달되는 자료는 http: 로 시작하는 URL(인터넷 주소)로 조회 할 수 있음.

SMTP

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

-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보내고 받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, TCP 포트번호 25번 사용

- 상대서버를 지시하기 위해서 DNS의 MX레코드가 사용됨, RFC2821에 따라 규정됨

-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로서 요구/응답 메시지 뿐만 아니라 모든 문자가 7bit ASCII로 되어 있어야 함 (8bit 이상의 코드를 사용하는 파일과 바이너리는 마임(MIME)방식으로 7bit로 변환되어 전달)

SNMP

(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)

-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TCP/IP 상에 정의된 응용 계층 표준 프로토콜

-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문제점을 찾아 수정하는데 도움을 줌

- SNMP를 지원하는 서버에 관리자가 질의를 해 자료를 받아갈 수 있고, 반대로 어떤 값은 설정을 요청할 수도 있음.

FTP

(File transfer protocol)

- 컴퓨터 간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

- 사용자인증, 데이터의 전환, 디렉터리 검색 등과 같은 많은 기능 및 선택사항을 제공

- 클라이언트/서버 관계를 이루며 동작함, 표준 RFC959에 따라 규정됨

- 데이터 전달 : 20번포트, 제어정보전달 : 21번포트

TELNET

-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, IETF STD 8로 표준화

- 보안문제로 사용이 감소하고 있으며, 원격제어를 위해 SSH로 대체되기도 함

IMAP

(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)

- 원격파일 서버와 유사하게 작동, POP3와 달리 메일을 받아올 때 서버에서 메일을 삭제하지 않고 보관하는 프로토콜

-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항상 같은 메일 내용을 메일 서버로부터 받아올 수 있는 장점이 있음

- POP3에 비해 메일서버와의 통신 트래픽이 높은 단점을 가짐

IRC

(Internet Relay Chat)

- 인터넷으로 실시간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프로토콜

- 동시에 다중 대화가 가능한 채팅 프로토콜

- RFC2810~2813이 주로 사용되며, TCP 6667과 6668 포트 사용

SIP

(Session Initiation Protocol)

- 인터넷 상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지능형 단말(전화, 인터넷 콘퍼런스, 인스턴트 메신저 등)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, 그들 상호 간에 멀리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또는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시그널링 프로토콜

- HTTP와 SMTP의 많은 부분 그대로 사용하여 개발된 텍스트 기반이므로 구현이 용이 하고, 유연성과 확장성이 있음.

POP3(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)

- 멀리 떨어져있는 메일서버에 지정된 사용자ID로 접속해서, 메일박스 내에 도착한 메일을 자신(클라이언트)에게 가져오기 위해 사용되는 비교적 간단한 프로토콜

- RFC1939에 정의되어 있음.

SSH

(Secure Shell)

-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

- 기존 rsh, rlogin, 텔넷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됨

- 강력한 인증방법 제공 및 안정성이 우수함, 22번 포트 사용

UUCP

(Unix to Unix Copy)

- 원격 명령실행, 파일 전송, 이메일, 컴퓨터간 네트뉴스 등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프로토콜 스위트 또는 세트를 가리킴

DNS

(Domain Name System)

- 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분산시켜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

- IP주소와 Host이름이 서로 연결되어 구조화된 역 트리구조를 갖는 계층적이고, 분산(Distributed)된, 클라이언트/서버 구조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말함.

 

 나. 표현계층(Presentation Layer)

프로토콜

설명

XDR

(External Data Representation)

- 하드웨어 독립적으로 데이터 서술과 기호화를 하기 위한 표준으로서, 원격절차 호출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썬마이크로시스템즈가 개발하였음.

- 서로 다른 컴퓨터 구조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유용함

- X.409나 ISO의 ASN등과 달리 묵시적인 형식을 사용함

SSL

(Secure Socket Layer)

- 넷스케이프사에서 전자상거래 등의 보안을 위해 개발하였음.

- TLS(Transport Layer Security)라는 이름으로 표준화되었음.

- 네트워크 레이어의 암호화 방식이기 때문에 HTTP 뿐만 아니라, NNTP, FTP등에도 사용

- 인증, 암호화, 무결성 보장

MPEG

(Moving Picture Experts Group)

- 정지된 화상을 압축하는 방법을 고안한 JPEG와는 달리,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동영상 압축과 코드 표현을 통해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연구

- 영상압축기술에 대한 표준을 정립하면 반도체 업체에서 이들 표준을 지원하는 영상 압축칩을 개발

ASCII

(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)

-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

- 컴퓨터와 통신장비를 비롯한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며,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이 아스키에 기반함

- 아스키는 7비트 인코딩으로, 33개의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을 비롯한 95개의 출력 가능한 문자들로 이루어짐

 

 다. 세션 계층(Session Layer)

프로토콜

설명

NetBIOS

-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입출력을 정의한 규약

- IBM의 PC-Networks,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-Networks LAN 매니저 등에서 사용함

RPC

(Remote Procedure Call)

-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하는 원격프로시저 호출 프로토콜

- RPC를 사용하면 특정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서 원격 시스템의 코드를 완벽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세스간 통신(IPC)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음.

Winsock

(Windows Socket)

- 예전부터 유닉스 등에서 TCP/IP 통신시 사용하는 Socket을 Windows에서 그대로 구현한 것.

 

 라.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
프로토콜

설명

TCP

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
- 전송제어프로토콜, 네트워크의 정보전달을 통제하는 프로토콜

- 인터넷을 이루는 핵심 프로토콜의 하나로서 IETF의 RFC793에 기술되어 있음

- TCP는 IP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흔히 TCP/IP로 표기함

- 패킷의 교환을 근간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(IP)을 기반으로 작동함.

-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줌.

UDP

(User Datagram Protocol)

- 신뢰성이 낮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로써 완전성을 보증하지 않으나, 응용이나 네트워크 환경에서 가상회선을 굳이 확립할 필요가 없어서 유연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

- 비연결성이고 신뢰성이 없으며, 순서화되지 않은 Datagram 서비스 제공

RTP

(Real-Time Transport Protocol)

- 인터넷상에서 다수가 종단간에 실시간으로 비디오나 오디오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(영상회의 등)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말함.

- 신뢰성은 없으나 빠르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UDP라는 수송 프로토콜 위에서 실행되며 주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함

 

 마.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

프로토콜

설명

IP

(Internet Protocol)

-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

-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함.

- 비신뢰성과비연결성이 특징

ICMP

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

- TCP/IP에서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리거나, 진단 등과 같이 IP계층에서 필요한 기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IP와 하나의 쌍을 이루며 동작함

- 네트워크 오류의 보고 (에러메세지)

- 네트워크 상태조사를 위한 질의 요청 및 응답 (질의메세지)

IGMP

(Internet

Group

Management Protocol)

- IP 멀티캐스트를 실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

- RFC 1112에 규정

- 구내 정보 통신망(LAN)상에서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(PC)에 대해 멀티캐스트 패킷을 분배하는 경우에 사용됨.

- PC가 멀티캐스트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라우터에 통지하는 규약.

IPSec

(Internet Protocol Security Protocol)

- 네트워크 계층상에서 IP패킷 단위로 인증 및 암호화를 하는 기술을 말하며, 인터넷 경유 구간에 일종의 보안 통로인 터널링을 형성해 줄 수 있음.

- 보안프로토콜과 키 관리 프로토콜로 복수의 프로토콜로 구성하여 보안연합(Security Association)이라고 함.

ARP

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
- 네크워크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

-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는 이더넷 또는 토큰링의 48비트 네트워크 가드 주소를 뜻함.

RIP

(Router Interchange Protocol)

- 매 30초마다 메시지 패킷을브로드캐스트하여 각 라우터가 네트워크 정보를 학습하도록 함, RFC1058에서 정의됨

- Distance Vector Algorithm에 기초하여 버클리대에서 개발한 라우팅 프로토콜로써, IGP(Interior Gateway Protocol)용이며 과거에 널리 사용되었으나, 최근에는 소규모 교육용 외에 사용 않음

BGP

(Border Gateway Protocol)

- 자치시스템(AS) 상호간의 라우팅에 적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

- 쉽게말하면, ISP 사업자들 상호간에 주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

- BGP-4는 EGP를 개량한 최근 버전임

EGP

(Exterior Gateway protocol)

- 일반적으로 자치시스템 상호간(Inter-AS 또는 Inter-Domain)에 경로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총칭

- 연구기관이나 국가기관, 대학, 기업간, 즉 도메인 간을 연결하는 인터넷 라우팅 프로토콜

 

 바.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

프로토콜

설명

Ethernet

- Xerox, Digital, Intel이 공동으로 사양을 개발하여 1980년에 제품화시킨 LAN구현 방식을 말함.

- 비연결성(connectionless)모드, 전송속도 10Mbps 이상

- 모든 노드가 동일한 전송매체를 공유함(Shared Media)

HDLC

(High-Level Data-Link Control)

-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고, 비트 전송을 기본으로 하는 범용의 데이터 링크 전송제어절차로써, 컴퓨터간을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에도 적합한 전송제어방식을 말함

- ISO 3309, 4435에 기술되어 있음.

- 비트지향적 프로토콜

PPP

(Point-to-Point Protocol)

- 전화선 같이 양단간 비동기 직렬 링크를 사용하는 두 컴퓨터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

- TCP/IP기반 등의 데이터 서비스에 많이 이용됨

- 절대적 회선 링크

 

 사.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

프로토콜

설명

RS-232

- 1962년 EIA에서 표준화한 DTE 및 DCE간 직렬(시리얼) 인터페이스 규격안을 말함.

- 보통 15m이하 단거리에서 38400bps까지 전송을 위한 직렬 인터페이스 표준규격으로써 통상 컴퓨터와 터미널 또는 컴퓨터와 모뎀 등 다양한 기기와의 접속에 사용됨

X.25 / X.21

- CCITT에서 DTE로 명명한 사용자 컴퓨터와 DCE로 명명된 통신회사 장비 사이에서 신호들을 교환함으로써 통신의 시작이나 종료를 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음

- X.25는 패킷교환망에 대한 액세스 표준

- X.21은 회선교환망에 대한 액세스 표준

 

 

(주)씨에스리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396, 누리꿈스퀘어 8층 대표이사 이춘식

Copyright © 2013 CSLEE. All right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