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I
태그 :
- 개념
- PI(Process Innovation) - 기존의 업무처리 방식을 고객지향으로 바꿈으로써, 경쟁우위의 변화 대응력을 조기에 확보하는 프로세스 혁신의 경영기법
I. 고객지향으로 업무처리 방식의 변경, PI의 개요
가. PI(Process Innovation)의 정의
- 기존의 업무처리 방식을 고객지향으로 바꿈으로써, 경쟁우위의 변화 대응력을 조기에 확보하는 프로세스 혁신의 경영기법
나. PI의 추진요소
|
- 프로세스: 전조직원의 참여 |
- 정보기술: 비전과 전략에 의한 Top-down전개 |
|
- 조직: 조직 재설계, 조직 능력 향상, 사용자 및 IT 전문가 참여 |
II. IT Process Innovation(활동) 영역
가. PI의 구성도
나. 프로세스 지원영역 및 관리영역
영역 |
구분 |
내용 |
프로세스지원영역 |
IT ROI |
|
SLA 관리 |
|
|
Chargeback |
|
|
ITO |
|
|
재무관리 |
|
|
IT HR |
|
|
프로세스관리영역 |
프로세스 개선 |
|
프로젝트 관리 |
|
|
형상관리 |
|
|
영향분석 |
|
|
표준화 |
|
III. PI의 추진요소 및 추진 전략
가. PI 추진 요소
나. PI 추진전략
- PI 프로젝트는 4가지 추진전략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관리
- Top-Down 접근으로 프로세스 성과를 위해 성과지표 중심으로 움직임
IV. PI 성공을 위한 제언
- PI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서는 전사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, 설정한 과제 달성을 위해 끊임없는 과제추진, 개선작업이 진행되어야 함
V. BPM과 PI의 비교
구분 |
BPM |
PI |
대상 |
|
|
목적 |
|
|
변화 수준 |
|
|
시작점 |
|
|
추진 방식 |
|
|
소요 시간 |
|
|
변화 빈도 |
|
|
추진 주체 |
|
|
주요 내용 |
비즈니스 Case별 End-To-End 관점에서 업무 흐름도, Activity 정의, Input/Output, 책임자/담당자, 개선기회 등을 명확히 기술 |
수직적으로 기능 매핑이 가능한 단위로 분류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