Ⅰ. XML기반의 온톨로지 표현언어 RDF의 개요
가. RDF(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) 정의
- 웹 상의 구조화된 메타데이터들 간의 표준화를 위한 XML기반의 Framwork.
나. RDF(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) 특징
Ⅱ. RDF의 개념도 및 구성요소
가. RDF의 개념도
- RDF는 종종 주어(subject), 서술(predicate), 목적(object)의 트리플(Triple) 모델로 기술됨
- ex) 세종대왕은 조선의 왕이었다
- 주어(세종대황-리소스), 서술어(~는 ~의 왕이다-속성), 목적어(조선-리소스)와 같이 하나의 문장으로 나타냄
나. RDF(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) 구성요소
구분 |
내용 |
RDF Data Model |
- 정보자원의 속성과 그 값을 표현하기 위한 개념적이고 추상적인 모형 - 기술하는 자원의 속성과 자원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며, 메타데이타의 교환과 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모델 - 자원(resource), 속성타입(propertytype) 성값(value)으로 트리플(triple) 혹은 3-tuple 형태로 구성- RDF 데이터 모델은 노드(node)와 아크(arc) 그래프를 이용해 메타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틀을 제공 - 자원은 노드로, 속성타입은 아크로, 속성값이 문자열 리터널인 경우는 사각형으로 표현 |
RDF Syntax |
-메터데이터의 작성과 어플리케이션간의 상호교환을 위한 구체적인 구문(XML을 사용하여 인코딩) |
RDF Schema |
-메타데이터의 속성에 대한 제어방법 및 클래스간의 관계 등을 사람이 이해하고 기계가 처리할만한 형태로 표현하는 기능 - RDF 스키마는 메타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증하기 위해 구문에 관계없이 메타데이터의 자원과 속성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 - RDF 스키마 명세서는 몇 가지의 기본적인 클래스와 속성들로 구성돼 있고, 주어진 도메인에 적용하기 위해 다른 도메인으로부터 확장될 수 있음 |
Ⅲ. RDF의 활용
가. 시멘틱 웹 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 Discovery 활용
나. 지식베이스 또는 전문가 시스템에서 활용
다. 특정 웹 페이지등을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디지털 라이브러리에 활용